티스토리 뷰



자유시장경제에 살고 있는 우리는 실질적으로 학교 다닐 때 경제 공부를 좀 등한시한 것이 있는 것 같습니다. 기본적인 돈 공부를 가정경제에서부터 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힘든 점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경제는 꼭 공부를 해야만 살아가는 데에 어려움이 없게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경제 용어 8가지

 

경제 용어 8가지 정리

1. GDP 국내총생산

GDP는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 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한 것입니다. 계산은 우리가 하는 것이 아니므로 기본적인 것만 알면 됩니다. GDP가 2% 성장했다면 그만큼 경제 활동이 늘었다는 뜻이라고 보면 됩니다. GDP는 소비와 투자, 정부 지출, 순수 출(수출-수입)로 구성됩니다.

 

2.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죠. 만원만 주면 살 수 있었던 것을 이제는 2만 원을 줘야만 살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돈이 많이 풀려서 가치가 떨어진 것을 말합니다. 약 2%의 물가상승률보다 더 높은 상승률이 생겼을 때 인플레이션 발생되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소득은 변화가 없는데 더 많은 돈으로 사야 하니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지출을 줄이려고 합니다. 그러면 기업입장에서도 매출이 떨어지게 되죠.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기 위해서 금리를 이용하여 통화정책을 조절합니다.

 

3. 금리

금리는 돈을 빌리거나 예금할 때 붙는 이자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은행에서 1,000만 원을 연 3% 금리로 빌리면 1년 동안 30만 원의 이자를 내야 합니다. 보통 이걸 12개월로 나누어 매월 이자를 납부를 하게 됩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대출 부담이 커져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낮아지면 돈을 빌리기 쉽고 예금보다는 투자를 하는 쪽으로 돈이 몰리게 됩니다. 예금에 넣어놔 봐야 이자 1% 수준이라면 투자를 해서 더 많은 돈을 버는 쪽으로 한다는 것이죠.

 

 

4. 실업률

실업률은 일을 하려고 하는데 아직 일자리를 찾지 못한 사람들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경제가 어려울수록 기업에서는 채용을 줄이거나 구조조정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당연히 실업률이 올라갑니다. 보통 평상시에는 이직 시장이 있기 때문에 일정한 실업률은 있지만 이 범위를 넘어서게 되면 경기 침체 우려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5. 환율

환율은 한 나라의 통화를 다른 나라 통화로 바꿀 때의 비율입니다. 환율이 지금 1달러에 지금 1,460원 정도 하는데 이는 1달러로 바꾸기 위해 우리나라 돈 1,460원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외국에서는 더 적은 달러로 살 수 있어 수출 기업이 유리해집니다. 반면에 수입할 때는 더 많은 우리나라 돈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게 되죠. 

 

그래서 환율은 안정적으로 있는 것이 개인적으로는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투자를 할 때에는 환율이 상승하면 추가 이익 하락하면 추가 손실이 생기게 됩니다. 

 

6. 주식 

주식은 기업의 소유 지분을 나타내는 증권입니다. 주식을 사면 그 기업의 주주가 되어 배당금을 받거나 주가가 오를 때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식을 1주 샀다면 삼성전자의 일부를 가진 것이라 보면 됩니다. 보통 주식은 실물로 받기보다는 증권사의 전산상으로 보유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7. 재정정책

재정정책은 정부가 세금과 지출을 조정해 경제를 관리하는 방법을 뜻합니다. 경제가 침체되면 정부는 세금을 줄이거나 공공사업에 돈을 써서 경기를 부양하고 경제가 과열되면 세금을 올려 소비를 억제하게 됩니다. 과열이 된다는 것은 가치보다 가격이 더 높게 오르는 것으로 자칫 거품현상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8. 통화정책

통화정책은 중앙은행이 돈의 공급량과 금리를 조절해 경제를 안정시키는 방법입니다. 한국은행이 이를 담당하죠. 금리를 낮추게 되면 돈 빌리기가 쉬워지니 더 많은 돈이 시중에 풀리게 됩니다. 그러면 경기가 활성화되겠죠. 반대로 금리를 올리면 대출을 상환하거나 대출 억제하게 됩니다. 기업입장에서는 투자도 조절하거나 쉬어갈 수 있기 때문에 경기가 다운되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마치며

아주 기초적인 경제용어 7가지를 다뤄봤는데요. 우리가 경제 공부를 하는 근본 목적은 돈을 벌기 위함일 겁니다. 그렇다면 기본적으로 경제가 돌아가는 상황과 해당 뉴스들에서 나오는 용어는 알아야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를 위해서 하나하나 풀어가면서 해주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므로 일찍 경제를 공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